[코리아타임즈 오피니언 '이창섭칼럼'_ 2011년 10월 27일]
Is K-Dentistry next Korean wave?
By Lee Chang-sup
Female professional golfers Pak Se-ri and Shin Ji-ae are in a slump these days
partly due to distorted jaw contact, or overbites.
These golfers definitely may not feel good in the contact of their teeth and jaws.
This imbalance affects the harmonized movement of their bodies, a crucial element for
hitting a good shot.
Unfortunately, they have yet to realize this.
Shin treats her backache with the help of an Oriental medicine doctor.
The backache may come from the misalignment of their teeth and the lower and upper jaws.
The two ladies should first go to a dentis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wo dentists led by Dr. Moon Hyung-joo, have theorized on the influence of
overbites or under-bites, namely dental occlusion, on general health.
Their work is to be published in the U.S.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next month.
The journal is one of the four major publications in the United States.
There have been many allegations and speculations over the influence of
dental health on the human body.
This time, these speculations and allegations are the subject of scientific scrutiny.
Look at the mirror and check whether your jaw is in a proper shape. One out of every four Koreans
has a problem in teeth and jaw contact. This disharmony ― the result of decay ―
could make people feel dizzy, suffer from ringing in the ears, headaches,
and pain in the nose and head.
People suffering from a bad bite may also suffer from such symptoms as the blurring of vision, earache,
a staggering gait, dizziness, nausea, vomiting, abdominal pain and blackouts.
Parents should not just scold a child when he or she is sitting awkwardly or uncomfortably.
They should first check whether their child has a bad contact between their teeth or jaws.
This dental malocclusion, or ill-contact of teeth or jaws, impedes proper body posture, body balance
and physical performance.
The jaws are the only part of the human body that moves simultaneously either to the left or to the right.
The left and right legs, eyes and hands, can move independently and in opposite directions.
The left and right part of the jaw moves together in the same direction.
The jaw has nine out of the 12 core human nerves and muscles passing through it.
This means disorders in the jaw influence the human body negatively.
The jaws are located central to the brain and spine. Namely they are the control tower for the activity of nerves,
muscles and blood vessels in the human body from head to toe. Even in sleeping,
the jaw is working. Gnashing teeth while sleeping is also evidence of bad contact.
This occlusion disorder, often leads to abnormal patterns of muscle activity, resulting in pain
in the neck muscles, as well as kidney and liver dysfunction.
People cannot maintain proper body function without a necessary systematic synchronization of
the head and jaw muscles with muscles in other parts of the body.
Tooth loss is a risk factor for postural stability. An ill-contact of the teeth might be a predisposing factor for
falls in older people. This means elderly people who suffer from the misalignment of teeth or jaws,
namely dental malocclusion, are at a higher risk of falling than those whose dentition
has been maintained.
Dental examinations should be included in medical checkups for the elderly,
especially those with symptoms of dementia.
What should patients do to improve the contact of their teeth? They should wear mouth guards
or occlusal splints. Coaches advise sports players to wear them during competition
in order to increase performance in such sports as baseball, long-distance running, shooting
and football.
Proper teeth clenching plays an effective role in the enhancement of sports performance.
Moon also advises elderly people to wear them for physical fitness. Many seniors have died
after falling while walking. People falsely thought this was due to weakening of the legs.
The fundamental symptom may be that the disharmonized contact of teeth and
jaws may have weakened one’s leg muscle, he said.
He boasts that Korea is one of the advanced countries in dentistry.
He expects the boom of K-Dentistry to continue like the ongoing fever
in K-Pop and K-Cosmetic Surgery.
Moon said he cured a severe hand tremor in a 20-something student through the adjustment
of his teeth and jaws. Before the patient consulted him, he had visited neurologists and
psychiatrists to treat the shaking.
Their conclusion was that the origin of his tremor could not be traced. Finally, he found that
the disorder was the direct result of his bad teeth clenching habit during a visit to the dentist.
His hand tremor disappeared miraculously. Moon said that the bad contact of his teeth distorted
the jaw movement. This, in turn, negatively affected the nerves of his hand, thus causing the shaking.
Everybody knows the adage that healthy teeth are one of the five human blessings.
Now the adage should change to this: Good contact of teeth is crucial for human blessing.
It is treatable now.
Lee Chang-sup is the chief editorial writer of The Korea Times.
He can be reached at editorial@koreatimes.co.kr
(원문보기)
K-Dentistry는 차기 한류 주자인가?
이창섭_코리아 타임즈 편집장
프로골프 선수 박세리와 신지예는 최근 슬럼프에 빠졌다.
슬럼프의 원인 중에는 틀어진 턱관절이나 부정교합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분명 치아와 턱관절에 불편을 느끼고 있을 것이다.
턱관절의 불균형은 좋은 샷을 치기 위한 신체의 조화와 관계가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녀들은 아직 턱관절 장애를 깨닫지 못하고 있다.
신지예는 한의사에게 요통 치료를 받고 있는데,
이 요통은 부정교합이나 턱관절의 불균형으로 올 수도 있다.
이 두 골퍼들은 우선 치과에 가봐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최초로 문형주 원장과 그의 연구원들은
부정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전신 건강과 관련이 있다는 이론을 정립했다.
그들의 연구성과는 다음 달 미국에서 출판되는
<대체보완의학저널: U.S.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에 실릴 예정이다.
이 학술지는 미국에서 출판되는 4대 의료학술지 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치아가 전신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주장과 추측은 많이 제기되었지만
이번 논문을 통해 이러한 주장과 추측들이 과학적으로 증명됐다.
지금 거울 앞에 서서 당신의 턱균형이 맞는지 확인해 보아라.
한국사람 4명 중 1명은 치아와 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턱관절의 불균형은 어지럼증, 두통, 귀이명을 유발하고 코에도 통증을 가져온다.
또한 부정교합을 가진 사람들은 얼굴 색이 붉어지고
귓병, 비틀거림, 어지러움, 메스꺼움, 구토, 복통의 증상에 시달리기도 한다.
부모들은 아이가 이상한 모습으로 앉아 있을 때
무조건 꾸짖지 말고 우선 아이의 치아와 턱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부정교합은 올바른 자세와 몸의 균형을 틀어지게 하고 신체 능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턱은 우리 신체에서 유일하게 오른쪽과 왼쪽, 양쪽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부위이다.
오른쪽과 왼쪽의 턱은 같은 방향으로 함께 움직인다.
12개의 뇌 신경 중 9개가 턱을 지나가는데
이는 턱관절의 장애가 전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한다.
턱은 뇌와 척추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예컨데 턱은 머리에서부터 발가락까지 전신에 뻗쳐있는 신경과 근육
그리고 혈관의 지휘관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자고 있을 때에도 이 턱관절은 쉼 없이 움직인다.
그렇기 때문에 잠을 자는 동안 이를 가는 것도 턱 관절 장애의 증거이다.
치아 부정교합으로 근육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목 근육의 통증과 신장과 간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턱 근육이 신체의 다른 부위의 근육들과 체계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다면
사람들의 몸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없다.
치아가 빠지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치아의 부정 교합은 노인들을 넘어지게 하는 주요원인이 되고,
이는 부정교합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치아와 턱을 잘 관리 한 사람보다
넘어질 위험이 더 크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치매 증상이 있는 노인들은 정기검진을 받을 때 반드시 치아 진단도 포함하여 받아야 한다.
그렇다면 부정교합 환자들이 치료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그들은 보호대나 아래 윗니의 교합을 맞추는 스플린트를 착용해야 한다.
특히 스포츠 선수 코치들은 야구, 장거리 달리기, 사격 그리고 럭비선수들의 역량을
최대한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경기 중에 스플린트를 착용할 것을 권유한다.
이를 악물고 있는 것은 운동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문원장은 또한 노인들에게 전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스플린트를 사용할 것을 권한다.
노인 중에는 넘어져서 사망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다리 근육이 약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문원장은 부정교합이 이러한 다리 근육이 약해지는 것의 근본적인 증상이라고 말한다.
그는 한국이 치과가 가장 발달한 나라 중에 하나라고 자랑한다.
그는 K-pop과 K-Cosmetic Surgery에 이어 K-dentisry가 한류의 다음 세대를 이을 것이라 예측한다.
문원장은 치아와 턱관절의 교정으로 심한 수전증을 앓는 20대 학생을 치료했다.
이 환자는 문원장을 만나기 전에 이미 손 떨림을 고치기 위해
신경과와 정신과 의사로부터 진료를 받았었다.
하지만 그들은 수전증의 원인을 밝히지 못했고 문치과에서 이를 악무는 잘못된 습관이
수전증의 주요 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의 수전증 증세는 기적과 같이 사라졌다.
문원장은 치아의 부정교합이 턱의 움직임을 틀어지게 했다고 했다.
이 틀어진 움직임은 손과 연결된 신경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수전증을 유발한 것이다.
‘치아 건강이 오복 중에 하나’라는 이야기를 모두가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그 말은 이렇게 바뀌어야 한다.
‘치아 건강은 인간이 가진 복의 근원’이다.
이창섭
코리아 타임즈 편집장
'문치과병원 시선집중 > 뉴스 및 이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겨레]턱 관절 이상이 허리통증·눈질환 부른다 (0) | 2011.11.09 |
---|---|
[문화일보]문형주 원장, 턱관절과 전신 건강의 인과관계 첫 규명 (0) | 2011.11.06 |
[경북일보] 턱관절 이상이 통증·만성피로 부른다 (0) | 2011.11.04 |
[아시아경제] 턱관절 질환, 만성통증·피로 일으킨다 (0) | 2011.11.03 |
[조선일보] 턱관절 장애, 두통·우울증 부른다 (0) | 2011.11.02 |
[서울신문] 턱관절·전신건강 상관성 체계적 규명 (0) | 2011.11.02 |
[아주경제] 턱관절 이상이 통증·만성피로 영향줘 (0) | 2011.11.01 |
[연합뉴스] 턱관절 이상이 통증·만성피로 부른다 (0) | 2011.11.01 |
[경향신문]성공하고 싶은가, 이 악물고 뛰지 말라 (0) | 2011.10.10 |
[아주경제]골퍼들에게도 마우스 피스가? (0) | 2011.10.04 |